KlayFi
8 min readMay 9, 2022

--

KlayFi의 방향성 및 토큰 이코노미 변경 공지

[한국어]
안녕하세요 KlayFi 가디언 여러분
KlayFi Lab입니다.

KlayFi Lab은 2021년 7월 서비스 런칭 이후 프로토콜 참여자분들의 지지에 힘입어 Klaytn 생태계의 공동 성장을 위한 긴 시간 생장을 거듭해왔습니다. 가디언 여러분들과 긴 시간을 함께해오는 동안 다양한 우수한 프로젝트와의 Partnership, KlayStarter 출시와 같은 굵직한 변화와 더불어 내외부적인 환경변화에 기인한 토큰 이코노미 상 변경 등 시장 상황에 맞춰 KlayFi Lab은 변화의 첨단에 서 있었습니다. KlayFi의 예정된 AMA에 앞서 KlayFi의 방향성과 토큰 이코노미 상의 주요한 변경 사항에 대해 가디언 여러분께 공지드립니다.

KlayFi & KlayStarter 방향성
KlayFi Lab은 $KFI 및 $KSTA의 지속성을 위해 토큰 이코노미에 중요한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번 토큰 이코노미 변경은 Yield Optimizer로서의 KlayFi의 방향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KFI 및 $KSTA의 지속적인 가치 부양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layFi는 Yield Optimizer의 기능을 수행한 것 외에도 Klaytn 생태계의 연결성 강화를 통해 공동 성장을 이루기 위한 거버넌스를 확보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Klaytn 수수료 인상 및 TVL의 상당한 유출, 연동 DeFi의 Farming APR의 하락으로 생태계 내부 성장을 도모하기 제한적인 부분이 존재하며 해당 기능을 KlayFi에서 지속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KlayFi는 Yield Optimizer 기능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Performance Fee 기반 구조에서 Auto Compounding Model로 완전히 전환하게 됩니다.이에 KlayFi Lab은 Klaytn 생태계 확장을 위한 거버넌스 확보는 symbiotik을 중심으로 지속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편 KlayStarter는 LaunchPad 플랫폼으로 Klaytn 생태계의 활성화를 이끌 신규 프로젝트의 Bootstrapping을 돕고, KlayFi 자체 생태계의 확장과 동시에 KlayFi 토큰 이코노미 고도화를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기 검토한 Pylon Gateway 방식은 현 Klaytn 이자율 구조와 시장 상황상 도입하더라도 큰 효용을 보기 어렵다는 것에 이견이 없어 현시점에 채택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KlayStater은 향후 시즌의 종료 없이 지속해서 IDO의 추진을 통해 가치를 높여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토큰 이코노미 변경 배경
KlayFi는 근본적으로 Klaytn 생태계의 DEX 및 DeFi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Yield Farming 환경을 제공하는 Yield Optimizer입니다. 투자 자산의 재예치 자동화를 통한 편리함을 넘어서서, Klaytn 생태계의 DEX 및 DeFi 거버넌스와 모델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하여 더 높은 이자 수익을 추구합니다.

KlayFi는 이를 위한 Performance Fe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Klaytn Ecosystem Governance 확보, $KFI Buyback 등에 이용되어왔습니다. 하지만 Modeling을 기획한 시점부터 예측했던 프로토콜과의 결합 부재와 현재의 시장상황 등에 현 구조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KlayFi의 방향성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해당 논의 과정상 마지막까지 더 나은 방향성을 찾기 위해 팀은 타 체인의 많은 기 프로토콜 구조를 분석하여 벤치마킹하고자 하였으나 현 시장 상황상 획기적인 개선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또한 KlayFi Lab은 기존의 KlayStarter 런치패드를 통해 $KSTA 홀더 분들이 성장 가능성 높은 새로운 프로젝트에 초기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지금까지 2개의 프로토콜이 런치패드를 실행하였습니다.

KlayFi Lab은 KlayStarter와 함께할 잠재력있는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실제로 여러 프로젝트 팀과 런치패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논의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여 KlayFi Lab의 기준에 미달하는 프로젝트가 존재하였습니다.
  • 나아가 Klaytn 메인넷에서 런칭을 준비하던 Dapp들의 이탈이 증가하면서 계획대로 Final Reviews 프로젝트에 대한 런치패드 진행이 단기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는 시장이 안정적으로 이륙하던 초기 생태계의 성장 이후 반복해서 발생한 이슈이며 향후 KlayStarter는 오픈된 구조의 런치패드 형식으로 지속적으로 운영됩니다. KlayStarter의 $KSTA 토큰은 추가로 발행되지 않으며 새로 진행되는 IDO의 참여를 위해 사용됩니다.

마지막까지 IDO를 통해 $KSTA의 가치를 부양하고자 한 KlayFi Lab측이기에 결과가 확정되기 앞서 섣불리 공유드리지 못한점에 대해 양해 부탁드립니다.

토큰 현황 (2022.05.09 14:00 KST 기준)

KlayFi는 출시 이후 지속해서 $KFI Buyback을 통해 전체 발행량의 약 23.2%를 소각하였으며, $KSTA의 경우 LaunchPad 이자, 블록 지연에 따른 채굴분, oSYM 등을 통해 전체 발행량의 약 35.8%를 소각하였습니다. 이와같이 $KFI, $KSTA의 시중 유통량은 프로토콜 수익에 근간하여 지속해서 감소해나갈 것입니다. 시장 상황이 개선되어 KlayFi GDP가 상승하고, LaunchPad가 활성화될수록 Deflation Model에 기반한 KlayFi의 토큰 이코노미는 홀더들을 위한 가격 상방 움직임을 가속화하는 연료로 작용합니다.

토큰 이코노미 변경 방향

  • KlayFi의 기존 Vault의 Performance Fee는 기존 30%에서 0%로 점차 전환될 예정입니다. 이를통해 $KFI 발행량을 줄여 가치제고를 이루게 됩니다.
  • KlayFi의 $KFI 토큰 이코노미는 Deflation-Model로 전환됩니다. KlayFi의 발행량은 감소하여 향후 0으로 수렴하게되며 이후 Auto-Compounding Fee에 기반한 Buy-Back을 통해 시중의 유통되는 $KFI 수량을 지속해서 줄여나갈 것 입니다.
  • 향후 KlayStarter는 오픈된 구조의 런치패드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KlayStarter의 $KSTA 토큰은 현재 발행이 종료된 상태이나 언제든 잠재력 있는 프로젝트 지원 시 사용자는 보유한 $KSTA를 통해 LaunchPad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KSTA는 2022.4.20일 부로 발행이 종료되었습니다. 현재 소각되지 않은 기 발행된 $KSTA는 IDO 진행과 oSYM의 실행을 통해 지속해서 소각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 해당 방향성의 변화는 LaunchPad 진행에 대한 완전한 종료가 아니며, KlayFi 측에서도 지속해서 잠재력있는 프로젝트들을 유치하기위한 노력을 통해 $KSTA의 가치를 부양할 수 있도록할 것 입니다.
  • symbiotik과의 연계는 이미 일부 진행 중이며, 점차적으로 연계 비중을 높여나갈 예정입니다. 이는 KlayFi의 TVL 상승과 symbiotik의 수익성을 높이는 동반성장을 이루게 됩니다.

토큰 이코노미 변경 상세

  • Auto Compounding으로 전환된 Vault는 더 이상 $KFI가 발행되지 않습니다.
  • Auto Compounding에 부과되는 4.3%의 수수료는 대부분 $KFI Buyback에 사용됩니다.
  • 해당 변경 사항은 수령하지 않은 Rewards에 한해 Auto Compounding Fee로 소급 적용 됩니다.
  • $KFI, $KSTA는 Deflation-Model 전환을 통해 시중 유통량을 지속해서 감소시킵니다.
  • Klaytn 생태계의 다양한 프로젝트들과의 토큰 이코노미 간 결합은 symbiotik을 통해 더욱 강결합을 이루게 됩니다.

KlayFi의 이번 Update는 프로토콜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시도이자 프로토콜의 근간부터 이루어지는 변화입니다. KlayFi는 프로토콜의 가치 부양을 위해 지속해서 발전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모델 구조 도입을 통해 궁극적으로 홀더와 프로토콜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형성할 것입니다.

KlayFi Lab은 Protocol과 Holder간 동반 성장을 위한 로드맵을 지속해서 그리며 효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앞장서서 이끌어 나갈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매우 Tough한 시기에도, 팀을 믿고 항상 지지해주시는 가디언 여러분께 마음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layFi Lab

--

--